본문바로가기 글자 크게 글자 원래대로 글자 작게
  • 홈으로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
 
우리학교일정 일정 더보기
이전달 일정    2023.06    다음달 일정
일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서 안내
작성자
김명숙
등록일
Apr 27, 2022
조회수
880
URL복사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서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

 

모든 방과후학교 관계자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고 상호 협조와 양보, 대화와 협력의 원칙 아래 이 협약을 체결하며 약속된 과제를 적극 실천해 나아감으로써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의 신뢰를 확보하고 투명성을 높이는데 공동으로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1장 총칙

 

1(목적)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이하“협약”이라 한다)은 협약체결 당사자를 비롯한 방과후학교 관계자들이 준수하여야 할 행위의 준칙에 합의하고 신뢰와 책임에 입각하여 이를 실천함으로써 학생들이 행복한 경기방과후학교를 만들고자 한다.

 

2(정의) 이 협약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 “방과후학교분야 공공성”이라 함은 ‘방과후학교의 본질인 학생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하고 교육의 본질이 적합한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 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성”이라 함은 ‘교육재정 및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투명하게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③ “협약체결 당사자”라 함은 각급학교, 학부모, 방과후학교 업체, 방과후학교강사, 교육청 등 방과후학교 기관 및 단체의 구성원을 대표하여 협약에 서명하고 실천을 다짐하는 자를 의미한다.

 

3(적용범위) 이 협약은 협약체결 당사자가 속하는 기관 및 단체의 구성원 모두에게 적용된다.

 

4(협약 당사자의 역할) 모든 협약 당사자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해 본 협약의 내용을 성실히 준수하고 이를 소속 기관 및 단체에 확산시키며, 협약 당사자 간의 상호 신뢰 구축 및 협력 증진 노력을 강화함으로써 협약의 실효성과 지속성을 공고히 한다.

 

2장 초··고등학교

 

5(각급학교의 역할) 각급학교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다음 활동에 적극 노력한다. ① 각급학교는 방과후학교 관련 예산 계획을 수립하여 적기에 집행한다.

② 각급학교는 방과후학교 운영 심의 절차를 준수한다.

③ 각급학교는 학생들의 안전한 학습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한다. ④ 각급학교는 우수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노력한다.

⑤ 각급학교는 방과후학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투명성 ?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3장 학부모

 

6(학부모의 역할) 학부모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다음 활동에 적극 노력한다. ① 학부모는 학생의 다양한 방과후활동에 대하여 적극 지원한다. ② 학부모는 학생의 다양한 방과후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③ 학부모는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적극 협력한다.

 

4장 방과후학교 업체

 

7(방과후학교 업체의 역할) 방과후학교업체(이하 “업체”라 한다)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다음 활동에 적극 노력한다. ① 업체는 학교 및 강사와의 방과후학교 입찰, 계약, 운영 시 금품수수, 담합 등의 불공정 및 부정한 행위를 하지 않는다. ② 업체는 소속 및 계약된 강사와 합법적이고 공정한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한다. ③ 업체는 체계적인 강사교육과 우수한 교재 교구를 계발하고 운영관리에 최선을 다한다. ④ 업체는 학생에게 사교육비 경감과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⑤ 업체는 모든 임직원이 투명성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5장 방과후학교 강사

 

8(방과후학교 강사의 역할) 방과후강사는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다음 활동에 적극 노력한다. ① 방과후학교 강사는 학생의 특기적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미래형 방과후학교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제시하도록 노력한다. ② 방과후학교 강사는 학생의 인성을 키우기 위해 상호존중하며 전인교육에 힘쓴다. ③ 방과후학교 강사는 강사의 자질향상을 위해 우수강의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도록 노력한다.

 

6장 교육청

 

9(교육청의 역할) 교육청은 방과후학교분야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다음 활동에 적극 노력한다. ① 교육청은 투명성과 공공성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투명사회협약운영위원회를 상시 운영한다. ② 교육청은 업무처리과정의 공정성을 높이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③ 교육청은 각급학교의 투명성과 공공성 제고를 위한 회계 및 청렴연수를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④ 교육청은 방과후학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생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적극 지원하고 홍보한다.

 

7장 협약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노력

 

10(협약의 실효성 확보) 이 협약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운영위원회」(이하‘운영위원회’)를 구성하며 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① 운영위원회는 각급학교, 학부모, 방과후학교 업체, 방과후학교강사, 교육청 등 방과후학교분야 관련 기관 및 단체의 대표자로 구성한다. ② 운영위원회는 협약체결 당사자 및 구성원들과 긴밀한 협력 체제를 유지하고 협약내용의 이행 ? 실천 ?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③ 운영위원회는 협약체결 당사자 및 구성원들이 협약내용을 준수할 수 있도록 상호 소통하고 협력한다.

11(협약의 보완) 협약체결 당사자는 협약체결 후 협약에 대한 보완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상호 협의하여 협약을 수정·보완한다.

 

부 칙

 

1(발효시기) 이 협약은 협약체결 당사자의 서명과 동시에 발효된다.

2(추가 가입 등) 협약에 참가하지 못한 방과후학교분야의 단체가 협약에 가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에 서명함으로써 협약에 가입한 것으로 본다.

 

서 명

 

경기교육 방과후학교분야 투명사회협약의 이행과 실천을 성실히 할 것을 서약한다.

 

 

2017년 12월 14일

 

경기도교육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행정실장 학부모

방과후학교 업체 방과후학교 강사

2017년 최초 협약 이후 협약서 수정사항 없음

 

 

  1. 4. 29.

 

고 양 관 산 초 등 학 교 장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
새글[0]/전체[113]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조회수 첨부
공지 2023학년도 고양관산초 방과후학교 운영계획 김명숙 Feb 23, 2023 574
공지 방과후학교 양식 김명숙 Jan 14, 2021 3222
113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2분기 수강 신청 안내 김명숙 May 4, 2023 82  
112 2023 방과후학교 부서별 연간 운영계획서 김명숙 Mar 14, 2023 334
111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1분기 수강 신청 안내 김명숙 Mar 3, 2023 359  
110 2022학년도 방과후학교 정산 결과 안내 김명숙 Feb 17, 2023 330  
109 2022학년도 방과후학교 겨울방학특강 수강신청안내 김명숙 Dec 27, 2022 755
2022학년도 방과후학교 겨울방학특강 수강신청안내 게시물 첨부파일
    2 / 1 2 / 1
108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개인위탁 위부강사 공모 김명숙 Dec 22, 2022 820
107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개인위탁 외부강사 공모 김명숙 Dec 13, 2022 898
106 2022 2학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및 강사 만족도 조사 결과 김명숙 Dec 9, 2022 962
105 2022학년도 방과후학교 겨울방학 특강 개인위탁 외부강사 공모 김명숙 Dec 8, 2022 748
104 2022학년도 2학기 방과후학교 만족도 조사 설문 안내 김명숙 Nov 28, 2022 766
2022학년도 2학기 방과후학교 만족도 조사 설문 안내 게시물 첨부파일
    2 / 1 2 / 1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10페이지 이동
목록
  •  현재접속자 : 0명
  •  오늘접속자 : 4,743명
  •  총 : 3,597,610명